대한민국이 만든 K-9 자주포가 러시아의 위협에 대비하는 상징적 무기로 자리 잡았다.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우크라이나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루마니아도 최근 러시아의 군사적 팽창을 우려해 K-9 자주포를 도입하기로 했다. 루마니아는 한국산 자주포 K-9을 도입하는 10번째 국가다. 나토(NATO) 회원국으로는 6번째다. 10개국 가운데 절반인 5개국이 러시아와 인접하고 있는 국가다. 루마니아는 K-9 자주포 54문과 K-10 탄약운반차 36대, 정찰·기상 관측용 차륜형, 장비탄약 등을 패키지로 2027년부터 도입할 계획이라는 게 제작사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설명이다. 총 1조3828억원 규모다.
현재 K-9 자주포를 운용하고 있는 나라는 한국(1999년 계약). 튀르키예(2001년), 폴란드(2014·2022년), 노르웨이(2017년), 핀란드(2017년), 인도(2017년), 에스토니아(2018년), 호주(2021년), 이집트(2022년) 등이다.
■러시아와 ‘K-9 벨트’
국제 무기 시장에서는 수년 전부터 ‘K-9 벨트’라는 용어가 등장했다. 폴란드, 에스토니아, 핀란드, 노르웨이 등 동유럽 및 북유럽 국가들이 K-9을 집중적으로 구매해서 나온 말이다. 이들은 모두 러시아 인접 국가다.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에 대비해 앞다투어 K-9 자주포를 도입했다. 결과적으로 K-9이 러시아를 벨트처럼 둘러싸고 있는 모양새가 됐다. 여기에 루마니아도 가세했다. 통상 무기 도입은 10년 이상 걸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 국가는 비교적 짧은 기간에 K-9을 구매했다. 최근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이 급상승한 결과다. 이에 편승해 한국이 K-9 특수 효과를 누리고 있다. 재주(위협)는 러시아가 부리고 돈(수출)은 한국이 챙기고 있는 셈이다.
K방산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한 K-9 자주포의 수출은 김대중 정부 때 시작했다. 1999년부터 국내에서 양산하기 시작한 K-9은 2001년 터키(현 튀르키예)에 총 280문 수출 계약을 체결한 것을 시작으로 올해 윤석열 정부에 이르러서는 루마니아 수출로까지 이어졌다.
제작사는 유럽의 분위기가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으로까지 이어져 제2의 ‘K-9 벨트’가 형성되기를 내심 기대하고 있다. 사우디아라비아는 K-9 자주포에 대한 정보를 지속해서 수집하고 있고, 베트남도 관심을 두고 있다. 몇몇 국가는 군 고위관계자들이 방한해 직접 자주포 사격 시범을 참관했다.